재테크/통계분석
한국 보통사람 보고서 (4) - 부동산
나의친구
2024. 6. 30. 12:21
이전글: 한국 보통사람 보고서 (3) - 자산
한국인의 부동산 사랑은 남다르다. 자산에서 거의 70%가 부동산이다. 미국의 경우 20~30% 사이다.
과거 오랫동안 농경사회였고 인구대비 영토가 작아서 타국가 대비 부동산에 대한 더한 신뢰 혹은 집착이 있는 것 같다.
그런데 부동산에 이렇게 많은 돈이 묶여 있는 것이 한국 경제에 도움이 될까는 고민해 볼 문제이다.
부동산
작년 자산에서 금융자산은 3.8% 증가했으나 부동산은 6.6% 감소했다. 부동산 가격의 하락의 영향이다. 거주주택의 10% 감소가 영향이 컸다.
부동산 평균 자산액은 3억 8천만 원 정도이다. 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71%이다. 반면 전월세 보증금을 제회한 금융자산은 17%이다.
그리고,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노령화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 경제의 미래를 위해서도 결코 좋은 현상은 아니다. 부동산은 유동화 (현금화)가 어렵다. 경제는 자금이 활발하게 순환하면서 발전한다.
결론. 가구당 자산대비 부동산 비율은 71% 이고 연령이 높을수록 비율이 높아진다. 부동산 자산은 전년대비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