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유도 방식
- 주관 : 무선전력컨소시엄(Wireless Power Consortium, WPC, Qi(치) 인증)과 무선충전표준연합(Power Matters Alliances, PMA, PMA 규격 인증)
- 전송거리가 짧음 : 수 mm
- 전송효율 우수 : 이론상 90%
- 주요 스마트폰 지원. 갤럭시 및 아이폰 등
자기공진(공명) 방식
- 주관 : 자기공진식무선충전연합(Alliance for Wireless Power, A4WP)
- 전송거리가 넓음 : 수 km
- 전송출력 고출력
- 전송효율 낮음 : 15% 이내
무선 충전기 해킹
- 이론상 가능. 충전기에 과충전을 발생시켜 과열을 일으킬 수 있음. 단, 스마트폰 해킹은 불가능
- 무선 충전기에 전원을 연결했을 때 공격자가 공격 대상으로 삼는 것은 전원과 연결단인 파워서플라이 부분
- 전기를 빨아들여 무선 충전으로 나가는 시그널에 특정한 노이즈 시그널을 함께 실어 보낼 수 있다. 이 파워서플라이 쪽에서 공격하는 데이터를 보내는 것이 가능
- 싱크만 정확하게 맞출 수만 있다면 폰에서 나오는 시그널에 노이즈를 첨가해 완충 시그널을 지우는 것이 가능
- 완충 시그널이 사라지면 스마트폰이 100% 충전이 끝나도 완충됐다는 것을 충전기는 인식하지 못하고, 결국 과충전이 되면서 사고로 이어짐
'IT > 시스템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젝트 블루핀 (Project Bluefin) (0) | 2024.04.0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