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이 2024년 4분기부터 한국 수사당국의 데이터 요청에 협조하기 시작2025년 1분기에는 372건의 요청을 수행하여 1137명의 이용자 정보(IP 주소, 전화번호)를 한국 정부에 넘김. 이는 전 분기 대비 이용자 수 기준 72.7% 증가한 수치텔레그램의 이러한 변화는 딥페이크 음란물 유포 사건 등 사회적 이슈와 관련이 있는 것. 파벨 두로프 CEO의 사법 리스크와 함께, 텔레그램은 서비스 약관을 위반하는 범죄 행위에 대해 한국 수사당국과 협력을 강화하는 추세 텔레그램, 한국 수사 협조 현황 (2024년 4분기 - 2025년 1분기)구분2024년 4분기2025년 1분기변화율수사당국 요청 건수270건372건37.80%정보 제공된 이용자 수658명1137명72.70%
유출 사고 현황총 유출 신고 건수: 307건 (전년도 318건과 유사)유출 원인 비율해킹: 56% (171건) → 전년도 대비 증가 (151건 → 171건)업무 과실: 30% (91건) → 전년도 대비 감소 (116건 → 91건)시스템 오류: 7% (23건) → 전년도 대비 감소 (29건 → 23건) 해킹 사고 유형 분석관리자 페이지 비정상 접속: 23건 (가장 많음)SQL 인젝션 공격: 17건 (데이터베이스 조작 공격)악성 코드 감염: 13건크리덴셜 스터핑: 9건 (탈취 계정 정보로 다른 사이트 로그인 시도)원인 불명 해킹: 87건 (전체 해킹 사고의 절반) 업무 과실 사고 유형게시판·단체 채팅방 개인정보 파일 게시: 27건이메일 동보 발송으로 인한 유출: 10건잘못된 첨부 파일 전송: 7건 시스템 오..
이데일리TV가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입수한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관과 기업의 유출 건수는 약 592만7000건, 과징금 규모는 486억5000만원으로 집계되었다. 2년 전과 비교해 유출 건수는 감소했지만, 과징금은 무려 30배 넘게 증가지난 2023년 9월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으로 과징금 부과 기준이 ‘전체 매출액의 3%’로 변경된 영향다만 과징금 산정 시 위반 행위와 관련 없는 매출액은 제외 과징금 규모 1위 메타 216억원2위 카카오 151억원3위 골프존 75억원4위 쿠팡 16억원 개인정보 유출 사유로는 업무 과실이 약 60%
생성형 AI로 얼굴·목소리를 차용하거나 해외발신번호를 국내번호로 바꿔주는 등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 수법이 고도화 어눌한 한국어나 발신번호 070으로 시작하던 단발성 사기의 시대가 지고, AI를 활용한 조직적 보이스피싱 범죄가 활개치고 있다.20일 경찰청에 따르면 2020년부터 지난해 11월까지 최근 5년여간 전국에선 연평균 2만 4천414건의 보이스피싱 신고가 접수됐다. 평균 건수는 ▲서울(6천763건) ▲경기도(6천252건) ▲인천(1천387건) ▲부산(1천323건) 순이다. 지난해로 한정하면 경기도가 5천226건으로 전국 최고치를 기록신고건수는 매년 감소세지만 1인당 피해금액은 커지고 있다.한국금융연구원의 ‘금융사기 현황과 대응과제’ 보고서를 보면 2023년 보이스피싱 피해금액은 1천965억원으로..
개인정보 분쟁 조정 처리 건수 666건→806건 증가. 전년대비 21% 증가분쟁조정 결과 동의율 78.5%, 동의없는 개인정보 수집 26.1% 역대 최다 개인정보 분쟁조정은 이용자 동의 없는 개인정보 수집 등 개인정보와 관련 분쟁사건 관련 조정으로, 민사소송법상 확정판결과 동일한 효력개인정보처리자가 분쟁조정에 반드시 응하도록 한 '분쟁조정 의무참여제', '수락간주제' 시행 등으로 조정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수락 간주제란 분쟁조정위의 조정안을 제시받은 당사자가 15일 이내에 수락 여부를 분쟁조정위에 알리지 않으면 조정안을 “수락”한 것으로 간주하는 제도 개인정보 분쟁조정 처리 건수가 806건. 전년 대비 21% 증가 개인정보에 대한 의식이 높아지고 '분쟁조정 의무 참여제' 등 관련 제도가..
보안 업체 스펙옵스(Specops)에 의하면 2024년 한 해 동안 도난당한 비밀번호의 수가 10억개가 넘는다고 한다. 그럼 가장 인기 비밀번호와 가장 많이 탈취된 비밀번호는 무엇일까? 1) 123456 : 370만2) admin : 190만3) 12345678 : 150만4) password : 55만80005) Password : 47만4000본인이 위의 비밀번호를 쓰고 있다면 당장 바꾸는 것을 권유한다. 그럼 비밀번호 길이당 가장 많이 사용하는 비밀번호는?1) 5글자 : admin2) 6글자 : qwerty3) 7글자 : welcome4) 8글자 : password 가장 많이 털린 비밀번호의 길이는?1) 8글자 : 1억8900만2) 10글자 : 1억6000만3) 9글자 : 1억5300만 위의 ..
미국메타는 2019년 미국연방거래위원회(FTC)로부터 50억 달러(약 7조 835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 유럽 메타 일반개인정보보호법(GDPR) 관련으로 1000만유로(약 148억 원) 이상 과징금을 받은 것만 7건. 모두 2022년 이후 내려진 결정으로, 7건의 과징금액 합은 24억 2800만 유로(약 3조 6069억 원) 한국2020년 메타에게 68억원의 과징금을 부과2022년 구글·메타에게 내려진 과징금 1000억 원. 개인정보위는 이용자의 데이터를 동의 없이 맞춤형 광고에 활용한 구글에게 692억 원, 메타에게 308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2024년 11월 5일 메타에게 216억원의 과징금을 추가. 페이스북 프로필을 이용해 국내 이용자 약 98만 명의 종교관, 정치관, 결혼 여부 등 민감 개인정보를..
개인정보가 유출됐다고 신고한 공공기관이 5년새 525% 증가캐치시큐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법원 전산망 해킹과 정부24 시스템 발생 오류 등 공공기관에서 개인정보의 유출이 빈번하게 발생사건 사고 예북한의 해킹그룹 라자루스가 지난 5월10일 대한민국 법원 전산망을 해킹. 라자루스는 법원 전산망에 침투해 민사 및 형사 사건 관련 데이터에 접근. 해킹은 주로 피싱 공격과 악성코드 배포를 통해 이뤄졌으며 이로 인해 법원 시스템의 일부 기능이 마비정부24에서도 지난 4월1일과 19일 두 차례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 발생. 정부24를 통해 발급된 성적증명서, 졸업증명서, 법인용 납세증명서 등에서 타인의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류가 발급 개인정보 유출 신고기관이 2019년에는 8곳, 2020년 11곳, 2021년 22곳,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스미싱 탐지 건수는 150만 건으로, 전년 대비 약 3배가량 증가 2024년 상반기 피해 금액이 3,242억원 공공기관을 사칭한 스미싱이 약 96만 건으로 가장 많았고, 지인 사칭이 약 28만 건을 차지임영웅 콘서트, 주식 리딩방을 활용한 공격 등 관심사를 이용한 스미싱 공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