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박충권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제출받아 21일 개인정보 유출 현황 공개
개인정보 유출 원인
- 1위 해킹에 의한 유출 151건으로 전체 정보 유출 318건의 절반 가까이 차지
- 2위 업무 과실 116건
해킹에 의한 개인정보 유출 기관별 건수
- 민간기관에서 해킹에 의한 유출은 2019년 38건에서 2020년 151건으로 급증했다 2021년 50건, 2022년 47건으로 다시 줄어든 뒤 지난해 135건으로 증가
- 공공기관에서 해킹에 의한 유출은 2019년 2건, 2020년 3건, 2021년 5건, 2022년 4건 등 미미한 수준이었지만 지난해 15건으로 급증한 양상
'정보보안 > 통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년 상반기 월 평균 18건 랜섬웨어 발견. ‘비트코인’ 요구 34% (0) | 2024.07.25 |
---|---|
24년 사이버 침해사고 35% 증가 (0) | 2024.07.25 |
2024년 공공기관 개인정보 유출 역대최대 (0) | 2024.06.18 |
휴대전화 스팸 유통 현황 (0) | 2024.06.03 |
다크웹 쿠키 거래 통계 (0) | 2024.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