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TOL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개념
-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를 의미.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며, 헬리콥터처럼 수직으로 이착륙할 수 있는 혁신적인 항공 교통수단
- 도심항공교통(UAM) 체계에서 주로 사용되는 항공기. *UAM은 eVTOL을 포함한 비행체, 이착륙 시설, 관제 시스템 등으로 이뤄지는 항공운송 생태계 전반을 의미
eVTOL 산업의 시장 규모 및 전망
- CAGR : 30 ~ 50%
- 2024 ~ 2025년 상용화 예정
- 2024 파리올림픽에서 대뷔 예정
산업의 발전 요인
- 환경 친화성: eVTOL 항공기는 전기 추진을 사용하여 탄소 배출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환경 지속 가능성에 대한 증가하는 관심과 맞물려 eVTOL 산업의 성장을 촉진
- 다양한 용도: 상업적 항공 택시, 긴급 의료 서비스, 군사 용도, 화물 및 배송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이는 eVTOL 산업의 다양성과 산업 전반의 파급력을 나타냄
- 자율 비행: eVTOL 개발업체들이 완전 자율 또는 반자율 비행 기능을 탑재한 항공기 개발에 집중하고 있음. 이러한 기능은 항공기 운영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
- 자본 투자와 파트너십: 투자자들과 대기업들의 eVTOL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와, 항공업계, 기술 회사, 정부 기관 간의 파트너십은 eVTOL 산업의 발전을 가속화. 선진국을 중심으로 국가적으로 인프라 투자가 이루어 지고 있음 (미국, 중국, 유럽, 일본, 한국 등)
산업의 저해 요인
- 기술적 도전: eVTOL 상업화는 고급 기술과 정교한 엔지니어링이 필요. 특히, 배터리 용량, 에너지 효율성, 장거리 비행 능력 등은 주요 과제
- 안전 및 규제 문제: 안전성 확보와 관련된 규제 기준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며, 이는 산업의 발전을 늦출 수 있음. 항공 규제 기관들은 eVTOL 항공기에 대한 안전 기준과 운영 규정을 개발하고 있음
- 인프라 부족: eVTOL 운영을 위한 필요한 인프라, 예를 들어 충전소, 버티포트(수직 이착륙장), 항공 관제 시스템 등의 부족도 중요한 장애물
- 고비용: eVTOL 항공기의 개발과 생산은 상당히 비용이 많이 들며, 이는 초기 투자 비용의 증가를 초래할 수 또한, 이러한 고비용은 최종 소비자 가격에 영향을 미침
- 공공 인식과 수용성: 새로운 기술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수용성은 eVTOL 산업의 성공에 중요한 역할. 대중이 이 새로운 교통수단에 대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다고 느끼는 것이 중요
주요 기업 (세계)
- Joby Aviation: 2009년에 설립된 Joby Aviation은 여러 해 동안 eVTOL에 대한 시연 비행, 프로토타이핑 및 테스트를 수행해 왔습니다. 이 회사는 최대 150마일(약 241km)의 거리를 커버할 수 있는 eVTOL을 개발하여 "전기 항공 라이드셰어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FAA 인증을 받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파트너쉽: Delta Air Lines, Uber, Toyota (투자 및 밀접한 협력관계), SK Telecom (투자) 등
- Archer Aviation: 전기 항공 라이드셰어링 서비스를 설립하고 항공사 및 기타 회사와 파트너십을 통해 eVTOL 항공기를 판매할 계획입니다. 이 회사는 Midnight eVTOL 항공기의 조립을 완료하였고, FAA 인증을 받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시험 비행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 파트너쉽: Stellantis, Unite Airlines, BETA Technology 등
- EHang: 중국 광저우에 본사를 둔 회사로, 자율 비행 항공기(AAV)와 승객용 AAV를 개발 및 제조. 2014년에 설립되었으며, 다양한 시제품을 개발하여 시험 비행을 진행해왔습니다. 주요 제품으로는 EHang 184, EHang 216 등이 있으며, 이들은 승객 운송 및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Volocopter GmbH, 원래 E-Volo GmbH로 불리던 회사,는 독일 브루흘살에 위치한 항공기 제조업체입니다. 전기 멀티로터 헬리콥터를 개인용 항공기 형태로 설계하여 에어택시용으로 사용되도록 전문화되어 있습니다. 주요 제품에는 Volocity, VoloConnect, VoloDrone 등이 있으며, 이들은 도시 내에서의 에어택시 서비스, 화물 운송, 그리고 장거리 여객 운송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Volocopter는 이미 다양한 시제품을 비행시켜 왔으며, 고급 전기 항공기 기술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주요 기업 (한국)
- 현대자동차 + 자회사 슈퍼널
- 한화시스템 + 미국 오버에어
비행체 종류
'재테크 > 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1) | 2024.03.29 |
---|---|
액침냉각 - SKT, 삼성물산 (0) | 2024.03.08 |
비대면 진료 - 미국, 영국, 일본, 중국 (0) | 2024.02.26 |
갤럭시24 부품공급사 (0) | 2024.01.30 |
액침냉각 (1) | 2024.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