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 개요
- 발생 배경: 코인베이스가 외주를 맡긴 인도 고객센터(TaskUs 인도르 지사) 직원 아시타 미슈라가 내부 접근 권한을 악용.
- 유출 방식:
- 고객의 사회보장번호(SSN), 은행 계좌 정보 등 민감 데이터를 무단 수집.
- 해당 정보를 사진 형태로 복제 후, 개당 200달러에 해커에게 판매.
- 악용 사례: 해커들은 탈취 정보를 바탕으로 코인베이스 직원을 사칭, 고객을 속여 사기 행각을 벌임.
피해 규모
- 직접 피해 고객: 약 6만9천 명 이상.
- 유출 정보: 사회보장번호, 은행 계좌 정보 등 고위험 개인정보.
- 2차 피해 위험:
- 피싱 및 계정 탈취
- 금융 사기 및 계좌 불법 이용
- 암호화폐 자산 직접 탈취 가능성
사고 원인
- 관리적 원인:
- 고객센터 외주 직원의 내부 접근 권한 관리 부실.
- 고객 데이터에 대한 접근·이용 통제 및 모니터링 부족.
- 구조적 취약점:
- 외주(하청) 체계 보안 리스크가 현실화된 사례.
- 핵심 데이터 보호를 제3자 인력에게 위임하는 구조적 문제 노출.
의견
- 이번 사건은 단순 해킹이 아니라 내부자(Insider)에 의한 악의적 데이터 유출이라는 점에서 심각성이 큽니다.
- 특히 고객센터 아웃소싱 구조의 보안 취약성을 그대로 드러냈으며, 금융기관 및 거래소의 제3자 리스크 관리 체계 부재가 핵심 원인으로 보입니다.
- 피해 고객 수가 많고, 사회보장번호·은행 계좌 같은 복구 불가능한 민감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어 장기적 금융 범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코인베이스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외주 인력 관리 강화, 민감 데이터 접근 최소화, 내부자 행위 감시 체계 고도화가 시급합니다.
'정보보안 > 사건사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9.16 티파니앤코(TIFFANY & Co.) 고객 개인정보 유출 (0) | 2025.10.04 |
---|---|
2025.9.12 NIA(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데이터 행정 컨설팅 사업자 텍스톰 개인정보 대규모 유출 (0) | 2025.10.03 |
2025.9.12 구글 헬스테크 자회사 베릴리(Verily) 관련 개인정보·의료정보 무단 사용 (0) | 2025.10.03 |
2025.9.12 비즈니스 성장 인큐베이터 플랫폼 ‘아싸뷰’ 해킹 (0) | 2025.10.03 |
2025.09.11 논산시의회, 시정질문 중 개인 및 단체 개인정보 노출 사고 (0) | 2025.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