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에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가 난수 발생기. 초소형, 저전력의 코립토리스터 기반 난수 발생기를 개발
대칭키 암호 알고리즘으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AES 암호에서 기존의 난수 발생 칩은 보안 칩 전체 면적의 75% 및 에너지 소모의 85%를 차지.
이번에 KAIST 에서 개발한 난수 발생기 칩은 CMOS 공정과 호환되고 핀펫기반 크립토그래픽 트랜지스터를 개발
'IT > 정보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타표면 (Metasurfaces) 기술과 정보보안 (0) | 2024.04.11 |
---|---|
패스워드 스트레이 공격 (0) | 2024.03.13 |
제로 트러스트 (Zero-Trust) (0) | 2024.02.27 |
큐싱 (QR 코드 피싱) (0) | 2024.02.19 |
Passkey (0) | 2024.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