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 부자는 금융자산 10억 이상 보유자, 슈퍼리치는 자산 100억 이상 보유자를 의미한다.
부자의 세부 자산유형
부자의 자산 세부 유형을 보면 서울 평균 집값이 10억을 넘어서다보니 거주용 부동산이 자산의 30% 를 차지했다. 그 다음은 유동성 자산이 13.3% 를 차지한다.
부동산자산을 세부적으로 보면 거주용:투자용 (투자용 주택, 빌딩, 토지 등)의 비율이 54%:46% 이다.
2023년은 부동산이 하락 조정을 받았음에도 비율이 증가한 이유는 금융자산 감소 대비 상대적으로 선방하고 자금을 안전자산으로 이동한 영향으로 보인다.
금융자산은 유동자산, 예적금, 보험 등의 안전자금:투자자금 (주식, 펀드 등)의 비율이 75%:25%이다.
2023년 주식시장이 활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비율이 줄어든 이유는 2022년 손해로 인한 부동산 및 안전자산으로 이동한 영향이 크다고 판단된다.
아래 2022년 슈퍼리치의 자산에 영향을 준 요소 설문 결과에도 반영되었듯이 국내 주식 시장이 2021~2022년 하락하면서 자산 구성이 안전자산으로 이동된 것을 알 수 있다.
'재테크 > 통계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부자 보고서 (4) - 24년 투자전략 (1) | 2024.03.16 |
---|---|
세대별 불안 요인 - 사회안전 및 환경 (0) | 2024.03.12 |
한국 부자 보고서 (2) - 자산 구성 (0) | 2024.03.02 |
한국 부자 보고서 (1) - 자산 및 퍼센트 (1) | 2024.02.24 |
S&P 투자 타이밍에 따른 수익률 (1) | 2024.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