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군 인터넷 침해 시도 현황
- 2025년 상반기: 총 9,262건
- 홈페이지 침해: 9,193건
- 해킹 메일: 69건
- 악성코드: 없음
- 최근 5년 상반기 추이
- 2021년: 6,146건
- 2022년: 4,926건
- 2023년: 6,791건
- 2024년: 6,349건
- 2025년: 9,262건 (5년 내 최다)
2. 공격 배후 추정
- 사이버사령부: “정확한 특정은 불가”, IP 경유지·연관성 근거로 북한 공격 다수 추정
- 군은 “대응 체계 고도화로 대비 태세 유지” 입장.
3. 국회·전문가 지적
- 군 온라인망 침투는 지휘 통제·핵심 정보 자산에 치명적 위험.
- 보안관제 정비, 정기 모의 침투 훈련, 간부 보안 교육 강화 촉구.
- “범정부 차원 대응 필요 → 대통령 직속 사이버안보 컨트롤타워 설치 및 법령 정비” 제안.
4. 방산업체 피해
- 최근 4년간 군에 신고된 방산업체 침해 사례:
- 2021년: 5건
- 2022년: 2건
- 2023년: 4건
- 2024년: 16건 (급증)
💡인사이트
- 이번 수치는 단순한 일시적 증가가 아니라, 사이버전이 군사 충돌의 핵심 전장으로 부상했음을 보여줍니다.
- 북한이 배후일 가능성이 높지만, 다국적 경유 IP를 통한 복합적 공격 전술도 고려해야 함.
군 인터넷 침해 시도 현황
구분 | '21년 전반기 |
'22년 전반기 |
'23년 전반기 |
'24년 전반기 |
'25년 전반기 |
계 | 6,146 | 4,943 | 6,805 | 6,401 | 9,262 |
홈페이지 침해시도 | 6,101 | 4,926 | 6,791 | 6,349 | 9,193 |
악성코드 | 13 | 5 | 1 | 0 | 0 |
해킹메일 | 32 | 12 | 13 | 52 | 69 |
(단위: 건) (자료=유용원 의원실)
'정보보안 > 통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2분기 기업 랜섬웨어 신고 10% 증가 (0) | 2025.08.18 |
---|---|
중소기업 해킹 추이 및 정부 대책 (0) | 2025.06.27 |
2025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신고 개인정보 유출 현황 (2025 1~4) (0) | 2025.05.27 |
북한 해킹 스케일, 6조 원 넘어섰다 (1) | 2025.05.07 |
텔레그램, 1분기 한국 이용자 정보 1137명 넘겼다… 전 분기 대비 72%↑ (0)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