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건 개요
- 해킹 그룹: 중국어 사용 조직 UAT-7237 → 상위 그룹 UAT-5918의 하위 조직으로 추정.
- 활동 시점: 2022년부터 활동, 2023년부터 대만 중요 인프라 공격 시작.
- 침투 방식:
- 인터넷에 노출된 서버의 알려진 취약점 악용
- 정찰·지문 수집 후 가치 있는 목표 선정
- 침투 성공 시 내부 확장 (LOLBins, WMI 도구 활용)
- 특징: SoftEther VPN·RDP 통한 지속적 접근, 중국어 간체 UI 사용 흔적.
- 비교 사례: MS가 기록한 Flax Typhoon 전술과 유사.
2. 피해 범위
- 대상: 대만의 웹 인프라 전반 (중요 인프라, 의료, IT, 통신 분야 포함 가능).
- 위험 요소:
- 윈도 레지스트리 변조 → UAC 비활성화, WDigest 평문 암호 저장 활성화
- 내부 계정·비밀번호 유출 가능성
- 장기간(2022년 9월~2024년 12월) 은밀히 접근 유지
- 연계 도구: 웹셸, PowerShell, Impacket, Cobalt Strike 등 고급 침투 툴 활용.
3. 원인
- 기술적:
- 서버 취약점 미패치
- 계정 보안 관리 미흡 (RDP·VPN 악용)
- 평문 암호 저장 등 보안 설정 취약점 활용
- 조직적:
- 중국계 해킹 그룹(UAT-5918, Flax Typhoon, Gelsemium 등)과의 연관성
- 지속적인 도구 개량(FireWood 백도어 변종, usbdev.ko 루트킷 연계)
- 전술적:
- 오픈소스 기반 도구 변형
- 장기적 스파이 활동을 위한 은밀한 접근 기법 고도화
'정보보안 > 사건사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8.16 북한 정찰 총국 해킹 조직 '김수키', 해커들에게 역 해킹 (1) | 2025.08.18 |
---|---|
2025.8.12 예스24, 2차 랜섬웨어 공격 (7) | 2025.08.12 |
2025.8.11 구글 보이스피싱으로 광고 고객 250만명 정보 유출 (2) | 2025.08.12 |
2025.8.11 에어프랑스 해킹으로 개인정보 유출 (2) | 2025.08.12 |
역대 최고 초대형 비트코인 해킹. 피해 금액 35억 달러(약 4조 8,650억 원) (5) | 2025.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