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부자 보고서 (3) - 세부자산유형

이전글: 한국 부자 보고서 (2) - 자산 구성

이 글에서 부자는 금융자산 10억 이상 보유자, 슈퍼리치는 자산 100억 이상 보유자를 의미한다. 

 

부자의 세부 자산유형

 

부자의 자산 세부 유형을 보면 서울 평균 집값이 10억을 넘어서다보니 거주용 부동산이 자산의 30% 를 차지했다. 그 다음은 유동성 자산이 13.3% 를 차지한다. 

부동산자산을 세부적으로 보면 거주용:투자용 (투자용 주택, 빌딩, 토지 등)의 비율이 54%:46% 이다. 

2023년은 부동산이 하락 조정을 받았음에도 비율이 증가한 이유는 금융자산 감소 대비 상대적으로 선방하고 자금을 안전자산으로 이동한 영향으로 보인다. 

금융자산은 유동자산, 예적금, 보험 등의 안전자금:투자자금 (주식, 펀드 등)의 비율이  75%:25%이다. 

2023년 주식시장이 활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비율이 줄어든 이유는 2022년 손해로 인한 부동산 및 안전자산으로 이동한 영향이 크다고 판단된다. 

아래 2022년 슈퍼리치의 자산에 영향을 준 요소 설문 결과에도 반영되었듯이 국내 주식 시장이 2021~2022년 하락하면서 자산 구성이 안전자산으로 이동된 것을 알 수 있다. 

 

2023 한국 부자 보고서,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 2023, 하나금융경영연구소

 

다음글: 한국 부자 보고서 (4) - 24년 투자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