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 개요 러시아의 해커들이 얼마 전 MS 임원진들의 이메일 해킹 및 주요 소스코드 탈취 피해 규모 MS 임원 이메일 내용 유출 및 일부 소스코드 유출 원인 러시아의 미드나이트블리자드(Midnight Blizzard) 해커가 지난 1월 패스워드 스프레이 기법을 통해 MS 임직원 일부의 이메일에 침투 패스워드 스프레이 공격 기법 공격자가 대량의 계정에 대해 몇 가지 일반적이거나 널리 사용되는 비밀번호를 시도하는 방식 이 기법은 브루트 포스(브루트포스) 공격과 유사하지만 차이점은 브루트 포스 공격이 단일 계정에 대해 가능한 모든 비밀번호 조합을 시도하는 데 집중하는 반면, 패스워드 스프레이는 많은 계정에 대해 비교적 적은 수의 비밀번호(예: "123456", "password", "admin" 등)를 시도
사건 개요 가게 대표도 모르는 사이 배달앱 신규 서비스에 가입 피해 규모 이용자가 신청한 적도 없는 배달업체 광고 서비스에 가입 - 서비스는 배달의 민족의 빠른 배달 서비스로 현재 광고 중인 것으로 더 많은 수수료 징수 원인 배달의 민족 협력업체 직원이 이용자에게 배달의 민족 지도에 공짜로 가게를 표시해준다고 제안한 뒤 동의를 얻고, 가짜 서류를 만들어 서비스 신청 이 협력업체는 지난해 12월에도 같은 수법을 사용해 이미 경찰 수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 불법으로 확인 후 업체 조치
사건 개요 A소장은 2020년 11월경 관리사무소장실에 설치된 블랙박스에 아파트 선거관리위원 4명이 촬영된 부분을 캡처한 후 이를 입주자대표회의 회장 B 씨에게 보낸 혐의로 재판에 넘겨짐 선관위원들은 A소장에게 B회장에 대한 직무정지 공고문을 각 동 승강기에 붙여달라고 요구. 이에 이 아파트에서 일한지 일주일 된 A소장은 이들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 B 씨에게 사진을 보냈다. 당시 A소장은 개인정보 주체인 4명의 동의는 받지 않음 처벌 사유 및 변경 아파트 관리사무소장이 임의로 공고문을 게시하겠다는 선거관리위원들의 모습이 찍힌 블랙박스 영상 캡처본을 입주자대표회의 회장에게 전달한 혐의로 1심에서 유죄를 선고 : 법원이 소장의 사진 전송 행위를 정당행위 2심 인천지방법원 제1-2형사부(재판장 김형철 부장판..
사건 개요 해커조직 플레이가 스위스 정부의 기밀 파일 130만 개를 다크웹 사이트를 통해 공개 피해 규모 스위스 정부 기밀문서 130만개 파일 유출. 정부와 관련된 파일은 6만5천개 파일 소스는 대부분 사법부, 경찰 및 이민국 자료. 개인정보 일부 포함 원인 플레이(Play)라는 랜섬웨어 조직이 스위스 정부로부터 6만 5천여 건의 중요 문서를 훔쳐내는 데 성공 정부 기관들과 계약을 맺은 엑스플레인(Xplain)이라는 서드파티 벤더사를 통하여 해킹 엑스플레인은 문서 관리 및 처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벤더
도심에서 자주 이용하는 따릉이, 공유자전거 및 전동킥보드의 큐알 코드를 이용한 해킹이 증가하고 있다. 중장년층이 많이 피해를 보는 보이스피싱과 달리 QR코드를 많이 활용하는 청년층이 주로 당하는 게 특징이다. 방법은 다양하지만 기존 큐알코드에 해킹 사이트 또는 앱을 설치 유도하는 큐알코드를 덮는 '큐싱'이 확산되고 있다. 23년 온라인 보안 공격 가운데 17%가 이 큐싱 방식으로, 한 해 전보다 60%가량 증가했다. 해킹 방법 공유자전거 및 전동킥보드 사용 큐알코드에 가짜 큐알코드를 덮어서 악성 앱을 설치 세미나장 등의 행사장에서 이젤 안내판을 통하여 가짜 경품 큐알코드로 접속 유도하여 개인정보 탈취 악성 앱을 설치하게 하거나 개인정보를 입력하게 해서 돈을 가로채는 방식 예방책 큐알코드를 찍기전에 덧댄 ..
사건 개요 2023년 11월 라인 애플리케이션 이용자 정보 개인정보 44만건 유출 2024년 2월 라인 애플리케이션 이용자 정보 등 약 51만 건이 유출 및 종업원 정보 5만7천건 유출 피해 규모 개인정보 96만건 유출 총무성은 행정지도를 통해 공통의 시스템을 분리시키고 업무위탁 상황을 재검토하도록 요청 위탁을 재검토하지 않으면 소프트뱅크가 관여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자본 관계를 바꾸도록 요청 원인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해킹 공격 및 네이버클라우드를 통한 제3자 부정한 접근 시스템 업무를 위탁하고 있는 주요 주주인 네이버클라우드의 관리 감독이 불충분
처벌 사유 제약사 직원 5명과 대학병원 법인이 불구속 기소 제약사 직원과 4개 대학병원 법인이 2018년 11월부터 2020년 1월까지 3만9,000명의 환자정보 파일을 제약회사 판매 유출된 개인정보는 환자 성명, 주민번호, 연령, 키, 체중, 병명, 처방약품, 진료과목 등으로 민감정보 개인정보 목적 외 이용 및 개인정보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에 따라 접속기록을 미점검 관련 내용 2024.2.28 해킹사고 - 종합병원 환자 개인정보 유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