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미국 플로리다주에 본사를 두고 있는 제리코 픽처스(Jerico Pictures Inc.)가 운영하는 내셔널 퍼블릭 데이터(National Public Data. 이하 NPD)는 역대 최대 규모인 30억 명의 개인 데이터 유출 사고NPD는 배경 조사 회사로, 다양한 출처에서 수집된 방대한 양의 개인 식별 정보를 보유이 회사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이름, 주소, 사회보장번호, 가족 정보 등이 포함 사건 경위2024년 4월 8일, ‘USDoD’라는 해커 그룹이 다크웹 포럼에서 이 데이터를 350만 달러에 판매한다고 발표USDoD는 "National Public Data"라는 277.1GB 크기의 압축되지 않은 데이터베이스를 다크웨에 게시전문가들은 이번 유출 사건이 NPD의 네트워크 보안 취약점을 악용했..
5일 김종양 국민의힘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경찰청을 대상으로 해킹을 시도한 건수는 지난 2021년부터 올해 5월까지 최근 3년간 총 1만 1926건연도별로 살펴보면 2021년 3690건, 2022년 3389건, 2023년 3210건이다. 올해인 2024년에는 5월 말 1637건의 경찰청 해킹 시도가 있었다.유형별로는 정보 유출 시도가 4521건으로 전체 38%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정부 수집 3474건(29%), 시스템 권한 획득 2092건(18%), 홈페이지 변조 시도 857건(7%) 등 순이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김종양 국회의원(국민의힘, 경남 창원의창구)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 5월까지 집계한 결과, 전체 5만 4,301건의 해킹 시도 발생 이 가운데 강원도가 7,724건으로 가장 많은 공격 피해를 입었다. 지역별 해킹 시도를 분석했을 때, 경기와 강원이 2020~2023년에 꾸준히 네 자릿수를 달성했다. 특히 강원은 올해 들어 5월까지 1,260건에 달해 2023년의 58%를 넘었다.서울은 2020년 558건, 2021년 354건, 2022년 261건으로 서서히 줄다가, 2023년 313건으로 소폭 증가했다. 올해는 5개월 동안 지난해 전체의 250%가 넘는 급격한 증가세를 보였다.반면, 세종특별자치시는 인구로 봤을 때 2020년에 35만 5,000여명, 2021년에 35..
사건 개요1일 전북대에 따르면 지난 7월 28일 오전 3시와 오후 10시, 11시 20분, 세 차례에 걸쳐 대학통합정보시스템 ‘오아시스’의 해킹 시도해킹 시도로 재학생 및 졸업생, 평생교육원 회원 등 32만 2425명의 개인정보가 유출 피해 규모유출된 개인정보는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이메일, 학사정보 학생과 졸업생은 74개 항목이고, 평생교육원 회원은 29개 항목 원인 지난달 28일 오전 3시와 오후 10시, 11시20분 등 세차례에 걸쳐 대학통합정보시스템인 '오아시스'의 보안 취약점을 이용한 해커의 개인정보 해킹 시도
사건 개요발머스한의원에서 유출된 것으로 보이는 개인정보가 지난 5월 블랙마켓에 등장. 그리고 2개월이 지난 지난 7월 27일 텔레그램을 통해 발머스한의원의 개인정보가 재유포된 정황이 포착 피해 규모해커가 노출한 샘플데이터는 사용자 아이디, 이메일 주소, 패스워드, 이름, 핸드폰번호, API 토큰 등샘플로 공개된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는 대부분 네이버 계정이며, 일부 한메일 주소가 포함 원인 해커는 지난 27일 텔레그램에 발머스 웹사이트 주소와 함께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추출한 형식인 덤프 형태로, 샘플데이터를 엑셀파일로 공개
사건 개요보안 외신 블리핑컴퓨터에 의하면 3천 개가 넘는 깃허브 계정들이 멀웨어 유포에 활용배후에는 스타게이저고블린(Stargazer Goblin)이라는 해킹 단체가 있는 것으로 분석 피해 규모현재 캠페인을 통해서는 레드라인(RedLine), 룸마스틸러(Lumma Stealer), 라다만티스(Rhadamanthys), 라이즈프로(RisePro) 등이 유포되는 중 원인깃허브 계정과 워드프레스 사이트들을 통해 암호가 걸린 아카이브 파일을 내보내고 있는데, 이를 다운로드해서 풀면 압축되어 있던 멀웨어가 복구되면서 각종 정보가 공격자들의 손으로 넘어간다.
사건 개요북한 정찰총국의 통제를 받는 북한 해킹 그룹 안다리엘은 의료서비스 업체 5곳, 미국 기반 방위 계약업체 4곳, 미국 공군 기지 2곳, 미국 항공우주국 감찰관실 등에 피해 미국 병원 및 의료서비스 업체의 컴퓨터 시스템에 랜섬웨어를 설치하고 몸값을 요구 피해 규모랜섬웨어 공격으로 의료 검사 및 전자 의료 기록 등에 사용되는 병원 등의 컴퓨터를 암호화시키고 의료 서비스를 중단이를 통해 확보한 자금을 미국 정부 기관, 미국과 해외의 방위 계약업체 등을 대상으로 한 악의적인 사이버 작전에 사용 2022년 11월 시작된 이 작전을 통해 이들은 2010년 이전에 작성된 군용 항공기 및 인공위성에 사용되는 재료 관련 미분류 기술 정보를 포함해 30기가바이트 이상의 데이터 탈취 원인 국무부는 외국 정부의 지시 ..
구글 드라이브, 원드라이브, 드롭박스 활용해 악성코드 유포다양한 파일 포맷과 주제를 활용한 디코이 문서로 악성코드 감염 숨겨파일 실행 전, 파일 확장자와 포맷이 일치하는지 확인 필요 최근 구글 드라이브(Google Drive), 원드라이브(OneDrive), 드롭박스(DropBox)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한 APT 공격이 증가ASEC(안랩 시큐리티 인텔리전스 센터)의 분석결과 △경찰청 사이버수사국 △거래내역 확인서 △예비군 교육훈련 소집통지서 △아파트 전세계약서 △근로계약서 △대학교 협조 요청문 △기업 납품 확인서 △국제 정세 관련 등 다양한 주제의 디코이 문서가 확인공격자는 악성 스크립트 및 RAT 악성코드, 디코이 문서 파일 등을 클라우드 서버에 올리고 유포하는 방식으로 공격을 이어간다. 이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