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구글 제미나이, 메타 AI 등 주요 생성형 AI 도구들이 일상적으로 사용되면서 대화 저장·AI 학습 활용이 기본값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개인의 프라이버시 정보가 학습에 이용된다는 것이다.
서비스 마다 일부 비공개 모드·삭제 기능은 일부 서비스에만 존재하며, 단, 수동 변경이 필요하다.
따라서, 민감 정보 입력 전 저장·활용 정책 확인이 필수이다.
AI 서비스별 개인정보 처리 특징
챗GPT: 기본 저장·AI 학습 포함.
- 설정 변경 시 학습·기록 방지 가능.
- 임시 대화는 최대 30일 보관, 일반 대화는 무기한.
- 광고 목적 활용 없음.
구글 제미나이: 기본 저장·AI 학습, 검토자 열람 가능.
- 검토 데이터 최대 3년 보관.
- 비공개 모드 없음, 완전 삭제 불가.
- 현재 광고 활용 안 함, 정책 변경 가능성 열어둠.
메타 AI: 대화 저장·AI 학습·광고 활용 가능.
- 공유 대화 링크는 SNS 공개 피드에 자동 노출.
- 무기한 저장, 비공개 모드 없음.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 저장·학습·내부 검토 가능.
- 광고 활용, 설정 메뉴 진입 어려움.
- 기본 18개월 보관, 삭제는 수동.
클로드 / 루모 / 덕.AI: 비교적 개인정보 보호 강화.
- 클로드: 정책 위반 시만 검토, 학습 최소화.
- 루모: 로그 저장·광고 활용 없음, 비공개 모드 제공.
- 덕.AI: 학습·공유 없음, 일부 익명 데이터 30일 보관.
퍼플렉시티 / xAI 그록: 학습·광고 활용 가능성 존재.
- 비공개 모드·학습 중단 가능.
- 퍼플렉시티는 데이터 브로커 정보 활용.
'정보보안 > 정책 및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SGI서울보증 해킹 분석. "13.2TB 민감정보 탈취" (4) | 2025.08.05 |
---|---|
휴가철 중고 스마트폰 거래 증가와 개인정보 유출 (1) | 2025.07.11 |
이스라엘 - 이란 분쟁의 사이버 전쟁 (5) | 2025.06.22 |
BPFDoor 최신 변종 분석 요약 (0) | 2025.06.12 |
AI가 만든 사기 메일, 클릭 한 번으로 회사가 뚫린다 (2) | 2025.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