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해킹 사건 개요
- 올해 1월부터 최소한 해킹 공격 진행된 것으로 분석됨.
-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외교부, 군, 통신사(SK텔레콤) 등 주요 기관이 타깃.
- 중국 연계 해킹 조직이 배후일 가능성 높음.
- 주요 공격 그룹: SLIME68
- 대만 보안기업 TeamT5 분석에 따르면, 공격자는 SLIME68(aka UNC5221)과 유사.
- SLIME68은 중국의 APT 그룹이며, 악성코드 ‘SPAWN’ 및 Ivanti 취약점 악용.
- 대만, 일본 등에도 정찰 및 침투 시도 기록 있음.
- 공격 수법 및 도구
- 피싱 사이트 다수 운영해 자격 증명(아이디/비밀번호) 탈취.
- Ivanti 취약점 및 오픈 소스 해킹 도구 사용.
- 원격 접근 트로이목마(RAT) 활용.
- 다중인증 우회 위해 리버스 프록시 기법 사용.
- 웹메일 취약점 공격 가능성도 제기.
- TeamT5 분석 요점
- 공격자들의 행위는 북한 해커들과는 다른 패턴.
- 중국 APT 공격 도구 및 수법과 유사성이 높음.
- 중국어 기반 행동 양식 발견됨.
- S2W 분석 요점
- 국내 보안기업 S2W도 북한 ‘김수키’ 가능성 낮음으로 판단.
- 중국어 플랫폼과 바이두 등을 번역 없이 활용.
- 외교부 웹메일 솔루션 관련 소스코드까지 수집 정황.
- 공격자의 행위 패턴과 언어 습관이 중국 기반 환경에 익숙한 인물로 보임.
- 사건 공개 경로
- 8월 8일, 비영리기관 DDOSecrets 사이트에 보고서 게시.
- 보고서는 데프콘33(DEFCON 33) 현장에서 배포된 **보안잡지 ‘프랙(Phrack)’**에도 포함됨.
💬 코멘트
- 이번 사건은 단순 해킹을 넘어 국가 안보 및 외교 관련 핵심 정보에 대한 침해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음.
- 전문가들의 공통된 분석은 북한보다는 중국 APT 조직의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사이버 작전일 가능성이 크다는 점.
- 대한민국 정부는 공공기관 및 인프라 대상 보안체계 강화와 해외 APT 그룹에 대한 실시간 대응 체계 마련이 시급함.
- 특히 다중인증 우회, 오픈소스 도구 활용 등 고도화된 공격기술에 대응하는 차세대 방어체계 구축이 필요함.
'정보보안 > 정책 및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SGI서울보증 랜섬웨어 사태 요약 (0) | 2025.09.02 |
---|---|
금융사 해킹 사고 실시간 공유망 구축- 카톡으로 즉시 전파 (1) | 2025.08.19 |
생성형 AI에 남김 대화 비밀유지 될까? (5) | 2025.08.12 |
SGI서울보증 해킹 분석. "13.2TB 민감정보 탈취" (4) | 2025.08.05 |
휴가철 중고 스마트폰 거래 증가와 개인정보 유출 (1) | 2025.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