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년간, 당신의 정보는 안전했을까요?
265만 명
대학에서 개인정보가 유출된 피해자 수
115건
총 유출 사고 발생
2017-2025
조사 기간 (교육부 신고 기준)
무엇이 문제였을까: 사고 원인 분석
개인정보는 다양한 경로로 유출되었지만, 피해 규모는 특정 원인에 집중되었습니다.
사고 원인별 발생 건수 (총 115건)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지만, 보안 취약점을 이용한 외부 공격이 가장 많았습니다.
사고 원인별 피해 인원
전체 피해자의 95.6%가 단일 원인인 '해킹'으로 인해 발생하여, 한 번의 사고가 대규모 피해로 이어짐을 보여줍니다.
점점 더 심각해지는 상황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인정보 유출 사고 건수는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대학 정보 보안 시스템에 대한 심각한 경고입니다.
연도별 개인정보 유출 사고 발생 추이
반복되는 유출, 상위 대학 명단
일부 대학에서는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하여 구조적인 문제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유출 사고 반복 발생 상위 대학 (건수)
문제점과 해결 과제
현재의 대응은 미흡하며, 보다 근본적이고 강력한 해결책이 필요합니다.
🚨 현행 제도의 문제점
-
»
솜방망이 처벌
과징금 부과나 정보보안 진단 시 감점 부여에 그쳐 실질적인 개선을 유도하기 어렵습니다.
-
»
보안 투자 미흡
예산과 전문 인력 부족으로 인해 사전 예방 시스템 구축에 한계가 있습니다.
✅ 해결을 위한 제언
-
»
제재 강화 및 재정 지원 연계
'대학 기본역량 진단' 결과에 반영하여 재정 지원 중단 등 실효성 있는 제재를 검토해야 합니다.
-
»
예방 시스템 법제화
대학의 정보보호 예산 및 인력 확보를 법으로 의무화하고, 정부 차원의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합니다.
'정보보안 > 통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금융권 해킹·장애·보안사고 (0) | 2025.10.03 |
---|---|
AI 기반 사이버 위협 현황 (국내 기업 조사) (0) | 2025.10.03 |
글로벌 및 국내 랜섬웨어 동향 요약 (2024 상반기) (5) | 2025.09.02 |
5년간 증권사 전산사고 487건 (3) | 2025.08.26 |
25년 상반기 軍인터넷 대상 해킹 시도 9천건 이상 (3) | 2025.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