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드콜 ETF는 상대적으로 높은 분배율과 완만한 상승·횡보장에서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시장이 크게 오를 때 상승 이익이 제한되고, 시장 급락 시에도 원금 손실 위험이 있는 점은 고려해야 한다. 상승장에서는 개별 종목을 투자하는 것이 낫다.
현금흐름 확보가 주된 목표이거나, 시장 변동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되어 옵션 프리미엄 수익 창출이 기대될 때 유용한 전략
분배금(수익률) vs. 주가방어 능력 vs. 상승 잠재력
- 분배금이 아무리 높아도 시장이 크게 상승할 때 초과수익을 놓치는 기회비용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시장이 급락할 때에는 옵션 프리미엄이 일부 완충 역할을 하지만 원금 손실 위험은 여전히 존재
- 당장 높은 분배금을 원하는지, 혹은 좀 더 성장성 있는 주식을 직접 보유하며 장기 상승 모멘텀을 추구할지를 개인의 투자 목표와 성향에 따라 판단
투자 시점
- 중장기적으로 변동성이 유지되거나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면, 커버드콜 ETF가 비교적 높은 옵션 프리미엄을 지속적으로 확보하는 데 도움
- 반면 강세장 전환으로 급등이 예상될 경우, 커버드콜 전략은 상승을 전부 누리지 못할 수 있음을 감안
분산 투자
- 커버드콜 ETF만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보다는, 일반적인 주식형 ETF(또는 개별 종목)와 병행하여 분산 투자하는 방식도 고려
- 배당·커버드콜 전략은 ‘인컴(현금흐름) 창출’ 목적을 충족시키되, 자본차익 기회가 필요한 일부 자산은 일반 성장형 주식이나 섹터 ETF로 구성하는 식으로 자산 배분
'재테크 > 종목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목분석 - Illumina (ILMN) (1) | 2025.01.19 |
---|---|
미국 Covered Call ETF 분석 (0) | 2025.01.05 |
종목분석 - 코스맥스 (192820) (2) | 2024.12.22 |
파마리서치 (214450) 2025 전망 (1) | 2024.12.15 |
솔루엠 (SOLUM) 마일드스톤 (32) | 2024.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