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로 얼굴·목소리를 차용하거나 해외발신번호를 국내번호로 바꿔주는 등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 수법이 고도화
어눌한 한국어나 발신번호 070으로 시작하던 단발성 사기의 시대가 지고, AI를 활용한 조직적 보이스피싱 범죄가 활개치고 있다.
20일 경찰청에 따르면 2020년부터 지난해 11월까지 최근 5년여간 전국에선 연평균 2만 4천414건의 보이스피싱 신고가 접수됐다. 평균 건수는 ▲서울(6천763건) ▲경기도(6천252건) ▲인천(1천387건) ▲부산(1천323건) 순이다. 지난해로 한정하면 경기도가 5천226건으로 전국 최고치를 기록
신고건수는 매년 감소세지만 1인당 피해금액은 커지고 있다.
한국금융연구원의 ‘금융사기 현황과 대응과제’ 보고서를 보면 2023년 보이스피싱 피해금액은 1천965억원으로 2019년에 비해 70.8% 감소했고, 피해자도 1만 1천503명으로 77.2% 줄었다. 하지만 1인당 피해금액은 1천708만원으로 전년 대비 28% 증가
사례
대출 상환이 어려워진 A씨는 지난달 말 한 온라인 구직 플랫폼에 접속해 ‘전자기기 매입 및 판매’, ‘중계기 설치 및 관리’, ‘변작기 설치 및 이동관리’ 등 채용공고가 봤다.
개인 정보를 입력하자 모르는 ‘010’ 번호로 전화가 왔다. “변제일이 다가왔는데 돈을 갚을 여력이 안 되시나요? 저희 업체가 광고업을 병행하고 있어 휴대폰 번호가 많이 필요한데 사업에 필요한 유심칩 발급을 도와주시면 대출금 일부를 변제해 드리겠습니다.”
A 씨는 전화기 너머 상담원과 상담을 진행했다. 하지만 그가 보고 들은 모든 것은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신종 보이스피싱 수법이었다. 공고도 상담원도 모두 가짜였다.
'정보보안 > 통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개인정보 유출 신고 동향 분석 (0) | 2025.03.24 |
---|---|
2024년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인정보유출 건수 및 과징금 규모 (0) | 2025.03.04 |
2024년 개인정보 분쟁조정 806건 전년비 21% 상승 (0) | 2025.02.11 |
2024년 도난당한 비밀번호의 갯수는? 가장 많이 쓰는 비밀번호는? (0) | 2025.01.23 |
GDPR 벌금 상위 10개 사례. 빅테크 사례 (2) | 2025.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