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개인정보 유출 신고 동향 분석

유출 사고 현황

  • 총 유출 신고 건수: 307건 (전년도 318건과 유사)
  • 유출 원인 비율
    • 해킹: 56% (171건) → 전년도 대비 증가 (151건 → 171건)
    • 업무 과실: 30% (91건) → 전년도 대비 감소 (116건 → 91건)
    • 시스템 오류: 7% (23건) → 전년도 대비 감소 (29건 → 23건)

 

해킹 사고 유형 분석

  • 관리자 페이지 비정상 접속: 23건 (가장 많음)
  • SQL 인젝션 공격: 17건 (데이터베이스 조작 공격)
  • 악성 코드 감염: 13건
  • 크리덴셜 스터핑: 9건 (탈취 계정 정보로 다른 사이트 로그인 시도)
  • 원인 불명 해킹: 87건 (전체 해킹 사고의 절반)

 

업무 과실 사고 유형

  • 게시판·단체 채팅방 개인정보 파일 게시: 27건
  • 이메일 동보 발송으로 인한 유출: 10건
  • 잘못된 첨부 파일 전송: 7건

 

시스템 오류 사고 유형

  • 소스코드 적용 오류: 14건 (과반수 차지)
  • API 연동 오류: 8건 (권한 없는 자에게 정보 노출)

 

기관별 유출 신고 현황

  • 공공기관 유출 신고: 104건 (전체의 34%)
    • 전년 대비 2배 증가 (41건 → 104건)
    • 신고 기준 강화(1건 유출 시에도 신고 의무) 영향
    • 기관 유형별
      • 중앙행정기관·지방자치단체: 42%
      • 대학교·교육청: 41%
      • 공공기관·특수법인: 17%
  • 민간기업 유출 신고: 203건 (전체의 66%)
    • 전년도 대비 감소 (277건 → 203건)
    • 기업 유형별
      • 중소기업: 60%
      • 해외사업자: 12%
      • 협단체: 12%
      • 중견기업: 11%
      • 대기업: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