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2025도266 사
사건 개요
A 씨는 자신의 형사사건 재판 기록을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 법원에 재판 기록 열람, 복사·출력 신청을 하고, 법원으로부터 공동 피고인인 B 씨의 성명, 생년월일, 전과 사실이 기재된 다른 사건 판결문 사본을 제공받음
이후 A 씨는 해당 판결문 사본을 자신과 B 씨 사이의 민사소송에 관한 탄원서에 첨부해 다른 법원에 제출하여, B 씨의 개인정보를 제공받은 목적 외의 용도로 이용한 혐의로 기소됨
이슈
이 사건에서는 A 씨에게 판결문 사본을 제공한 법원이 개인정보 보호법상의 “개인정보처리자”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문제
개인정보 보호법은 개인정보처리자로부터 개인정보를 제공받은 자는 제공받은 목적 외의 용도로 이용하거나, 이를 제3자에게 제공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A 씨에게 정보를 제공한 법원이 “개인정보처리자”에 해당하여야만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죄 성립 여부를 논할 수 있기 때문이다.
판결
대법원은 "재판 사무를 담당하는 수소법원이 피고인의 신청에 따라 재판 기록을 열람·복사할 수 있도록 했더라도, 개인정보처리자로서 개인정보를 제공한 것으로 볼 수 없다"고 판단
"형사소송법 제35조 제1항에서 피고인은 소송계속 중의 관계 서류 또는 증거물을 열람하거나 복사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고
이는 피고인의 재판받을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수단"이라며 "법원은 소송계속 중 재판 사무의 일환으로 형사소송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피고인이 재판 기록을 열람·복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므로 개인정보처리자로서 개인정보를 제공하였다고 볼 수 없다"고 판결
'정보보안 > 처벌 및 징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딥페이크 성범죄 단속 963명 검거 (2) | 2025.04.21 |
---|---|
가짜 법인 세워 250억 돈세탁 보이스피싱 일당 20명 검거 (0) | 2025.04.21 |
‘클래스유’ 및 KT알파(기프티쇼) 개인정보보호 위반 과징금 및 과태료 (0) | 2025.04.21 |
남편 스마트폰· 차에 위치추적기 단 아내 징역 (0) | 2025.04.02 |
고객 개인정보로 불법 대출 받은 휴대전화 대리점 직원 구속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