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 개요 알리익스프레스(이하 알리)에서 주문하지도 않은 상품이 자동으로 결제 피해 사례 장바구니에 담아둔 상품 나도 몰래 결제? 서울 은평구에 사는 김 모(남)씨는 지난 13일 알리익스프레스에 로그인했다가 깜짝 놀랐다. 한 달 전 장바구니에 담아놨던 ‘자동차 분해 도구 키트’가 8개나 결제됐던 것. 개당 8333원으로 총 6만7000원이 등록해 둔 통장에서 빠져 나갔다. 알리 측에 채팅상담으로 이 사실을 알렸고 담당자는 “확인까지 시간이 걸려 2~3일 후에 연락주겠다”고 했다. 3일 뒤 ‘환불’ 처리됐다는 안내를 받았지만 8개가 아닌 3개 가격인 2만5000원만 취소됐다. 이유 없이 결제가 된 점에 대한 설명도 없었다. 김 씨는 “예전에도 장바구니에 넣어둔 상품이 배송돼 내가 착각한 건가 싶어 그냥 넘..
사건 개요 경찰은 절도 등의 혐의로 A씨를 붙잡아 검찰에 넘기려 했으나, 검찰이 검거 과정의 위법성을 문제 삼은 것으로 확인 실종 신고를 통해 확인된 위치 정보를 수사에 사용해 법을 어겼다는 취지 가족 등의 실종신고 등이 긴급구조요청으로 분류되면 경찰과 소방당국 등은 긴급구조자에 대한 위치를 파악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위치정보법)’에 따라 긴급구조요청 관련 정보는 긴급구조 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고 규정
사건 개요 지난 3월 28일 한국투자교육연구소에서 운영하는 주식투자 정보 사이트 ‘아이투자(itooza)’에서 해킹으로 개인정보가 유출 피해 규모 13만건의 개인정보 이름, 아이디, 필명, 휴대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가입일 등 총 6개 항목이 해킹에 의해 유출 원인 2024년 3월 28일 신원 불상의 해커에 의해 탈취
사건 개요 2013학년도 2학기 국가근로장학생 100여명 개인정보 유출 피해 규모 2013년 2학기 국가근로장학생 선발자 명단에 속한 2006학번부터 2013학번에 속한 학생 98명 정보 유출 성명, 성별, 학번, 연락처 등 4개 항목 개인정보 원인 내부자 실수로 학교 공식 홈페이지에 개인정보가 포함된 첨부자료가 게재
사건 개요 랜섬웨어 그룹인 ‘랜섬허브(RansomHub)’가 지난 2월 미국 체인지 헬스케어(Change Healthcare) 자회사인 ‘옵텀(Optum)’에서 데이터를 탈취 피해 규모 2024년 2월부터 랜섬허브는 현재 체인지 헬스케어 침해로 얻은 4TB의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 의료 및 치과 기록, 결제 및 청구 정보, 사회보장번호를 포함한 환자의 개인 식별 정보(PII), 현역 미군의 PII가 포함 체인지 헬스케어와 유나이티드헬스에게 2,200만 달러 몸값을 요구하며 지불하지 않으면 도난당한 데이터를 유출하겠다고 협박 원인 체인지 헬스케어의 소프트웨어 솔루션에 대한 3천개 이상의 소스코드 파일에 액세스할 수 있다고 주장 ALPHV/BlackCat 랜섬웨어 그룹의 계열사가 체인지 헬스케어 플랫..
사건 개요 분양을 앞둔 아파트 단지의 낚시성 ‘유사 홈페이지’로 개인정보 불법 수집 및 이용 피해 규모 유사 홈페이지에서 신상정보와 연락처 수집 불법 수집된 정보를 시행사 등에 넘기고 실제 그 사람이 분양받아 계약하는 경우 수수료 편취 수수료는 분양이 잘되지 않는 단지일수록 높고 계약당 수수료는 적게는 200만~300만원에서 많게는 700만~800만원까지 책정 원인 분양 단지를 내세운 유사 홈페이지는 분양 계약을 이끌어 내고 수수료를 받으려는 브로커가 개설해 운영 블로그를 만들어 광고 글을 올리거나 카페에 홍보하는 방식 예비 청약자가 일반적으로 청약 전에 홈페이지를 방문해 단지 배치도, 평면도, 사이버 모델하우스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는 점을 악용
사건 개요 미국의 대형 도소매 업체인 홈데포(Home Depot)에서 데이터 유출 사고가 발생 홈데포에 기술을 제공하던 서드파티 SaaS 전문 업체가 침해를 당해 피해가 확대 피해 규모 약 1만 명의 홈데포 직원들의 개인정보 유출 - 유출된 데이터는 사원들의 회사 업무용 ID, 이름, 이메일 주소 등 추가 피싱 공격이 있을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는 중 원인 공격자는 인텔브로커(IntelBroker)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해커로, 홈데포 직원들의 개인정보를 탈취했다고 주장
사건 개요 유명 유튜브 계정을 해킹해 인포스틸러(Infostealer) 악성코드를 유포 어도비(Adobe) 등 상용 프로그램의 크랙 버전으로 위장해 악성코드를 유포 피해 규모 해킹된 계정 중에는 구독자 수가 80만 명이 넘는 계정과 가수를 비롯한 인플루언서의 채널이 발견 주제는 스포츠, 종교, 애니메이션 등으로 다양 원인 유명 유튜브 계정을 해킹 후, 어도비(Adobe) 등 상용 프로그램의 크랙 버전을 주제로 한 동영상을 올리고, 본문이나 댓글에 다운로드 링크를 첨부 악성코드는 모두 MediaFire(미디어파이어)라는 무료 웹하드에 업로드 파일은 비밀번호가 설정된 압축파일 형태로, 보안제품의 탐지를 우회하기 위한 목적 파일에 악성코드 포함 - 악성코드는 Vidar(비다르), LummaC2(룸마C2)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