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가 행복한 세상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모두가 행복한 세상

  • 분류 전체보기 (635) N
    • 재테크 (95) N
      • 산업분석 (25) N
      • 종목분석 (41) N
      • 투자전략 (10)
      • 통계분석 (19)
    • IT (45)
      • AI (24)
      • 시스템구조 (2)
      • 정보보안 (19)
    • 정보보안 (450) N
      • 사건사고 (260) N
      • 처벌 및 징계 (96) N
      • 정책 및 기술 (53)
      • 통계정보 (41)
    • 삶의윤활유 (45)
      • 유머 (10)
      • 좋은글 (9)
      • 생활지식 (21)
      • 정책 (4)
      • 감상평 (1)
  • 홈
  • 재테크
  • 좋은글
GDPR 벌금 상위 10개 사례. 빅테크 사례

GDPR 벌금 상위 10개 사례. 빅테크 사례

미국메타는 2019년 미국연방거래위원회(FTC)로부터 50억 달러(약 7조 835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 유럽 메타 일반개인정보보호법(GDPR) 관련으로 1000만유로(약 148억 원) 이상 과징금을 받은 것만 7건. 모두 2022년 이후 내려진 결정으로, 7건의 과징금액 합은 24억 2800만 유로(약 3조 6069억 원) 한국2020년 메타에게 68억원의 과징금을 부과2022년 구글·메타에게 내려진 과징금 1000억 원. 개인정보위는 이용자의 데이터를 동의 없이 맞춤형 광고에 활용한 구글에게 692억 원, 메타에게 308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2024년 11월 5일 메타에게 216억원의 과징금을 추가. 페이스북 프로필을 이용해 국내 이용자 약 98만 명의 종교관, 정치관, 결혼 여부 등 민감 개인정보를..

  • format_list_bulleted 정보보안/통계정보
  • · 2025. 1. 2.
  • textsms
공공기관 개인정보 유출 신고, 5년새 525% 증가, 3년간 500만 명 개인정보 유출

공공기관 개인정보 유출 신고, 5년새 525% 증가, 3년간 500만 명 개인정보 유출

개인정보가 유출됐다고 신고한 공공기관이 5년새 525% 증가캐치시큐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법원 전산망 해킹과 정부24 시스템 발생 오류 등 공공기관에서 개인정보의 유출이 빈번하게 발생사건 사고 예북한의 해킹그룹 라자루스가 지난 5월10일 대한민국 법원 전산망을 해킹. 라자루스는 법원 전산망에 침투해 민사 및 형사 사건 관련 데이터에 접근. 해킹은 주로 피싱 공격과 악성코드 배포를 통해 이뤄졌으며 이로 인해 법원 시스템의 일부 기능이 마비정부24에서도 지난 4월1일과 19일 두 차례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 발생. 정부24를 통해 발급된 성적증명서, 졸업증명서, 법인용 납세증명서 등에서 타인의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류가 발급 개인정보 유출 신고기관이 2019년에는 8곳, 2020년 11곳, 2021년 22곳, ..

  • format_list_bulleted 정보보안/통계정보
  • · 2024. 12. 18.
  • textsms
2024년 스미싱 탐지 150만건

2024년 스미싱 탐지 150만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스미싱 탐지 건수는 150만 건으로, 전년 대비 약 3배가량 증가 2024년 상반기 피해 금액이 3,242억원  공공기관을 사칭한 스미싱이 약 96만 건으로 가장 많았고, 지인 사칭이 약 28만 건을 차지임영웅 콘서트, 주식 리딩방을 활용한 공격 등 관심사를 이용한 스미싱 공격

  • format_list_bulleted 정보보안/통계정보
  • · 2024. 12. 2.
  • textsms

딥보이스(인공지능 음성 합성) 기술로 가족·지인을 사칭 피해 1300억

금감원에 접수된 보이스피싱 피해 건수는 지난해보다 줄었지만 같은 기간 총 피해 금액은 1272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419억원(49.1%) 늘었다. 특히나 보이스피싱 1건당 평균 피해 금액은 약 1500만원으로 지난해 평균(800만원) 대비 2배 가까이 급증 원인은  '악성 앱', '딥보이스', '큐싱(QR코드를 활용한 사기 웹페이지 접근 유도)'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고 피해자의 경제·사회적 상황에 맞춘 시나리오를 준비하는 등 보이스피싱 수법이 갈수록 고도화되기 때문금융·공공기관을 사칭해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하거나 '딥보이스(인공지능 음성 합성)' 기술로 가족·지인을 사칭해 급전을 요구하는 등 사기 수법 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발생한 전체 보이스피싱 피해자 중 16%는 60대 이상 ..

  • format_list_bulleted 정보보안/통계정보
  • · 2024. 11. 11.
  • textsms

2024년 국내 대학 개인정보 유출 사고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대학과 고등교육기관에서 22건의 개인정보 유출이 발생해킹과 관리 실수 등으로 여러 대학에서 학생 정보가 노출 사고 사례이화여대의 학사 정보 등을 관리하는 통합정보시스템이 해킹돼 1982∼2022학년도에 입학한 졸업생 일부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메일주소, 주소, 학적 정보 등이 유출경기대는 1만9천926명의 성명과 주민등록번호, 소득분위 관련 정보가 담긴 파일을 홈페이지에 게시지난 4월 192명의 주소, 전화번호 등의 유출한 홍익대는 지난 5월 학생 1만2천376명의 학번, 학위, 학적 상태 등이 포함된 파일을 착오로 메일로 발송해 개인정보를 유출 전북대는 지난 7월 대학통합정보시스템 해킹을 당해 34만5천938명의 학번과 주민등록번호, 휴대전화 번호 등 74개 항목의 개인 정보 ..

  • format_list_bulleted 정보보안/통계정보
  • · 2024. 10. 15.
  • textsms
사상 최대 상반기 스미싱 피해 신고 약 88만건

사상 최대 상반기 스미싱 피해 신고 약 88만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최수진(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1월~6월 휴대전화 불법 스팸 신고는 총 2억 1,751만 637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스미싱 피해 신고는 88만 7,859건으로 지난 2020년(95만 843건) 이후 가장 많았다.

  • format_list_bulleted 정보보안/통계정보
  • · 2024. 10. 14.
  • textsms
4년간 교육기관 개인정보 유출, 615만건 (2021년 부터 2024년)

4년간 교육기관 개인정보 유출, 615만건 (2021년 부터 2024년)

2021년부터 올해 8월 말까지 최근 4년간 대학 및 대학병원, 교육청 및 일선 학교, 기타 교육기관을 합친 개인정보 유출 건수는 615만건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강동갑)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교육 관련 기관들의 개인정보 유출사고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올해 8월까지 교육기관들에서 유출된 개인정보는 615만 4,877건으로 우리나라 인구 5,175만명의 8.4%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는 주민등록번호 등 고유식별번호와 병명과 진료결과 등 민감정보였다.

  • format_list_bulleted 정보보안/통계정보
  • · 2024. 10. 14.
  • textsms
5년간 악성코드 10배 급증 (2020년 부터 2024년)

5년간 악성코드 10배 급증 (2020년 부터 2024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0일 한국인터넷진흥원(KSIA)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악성코드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9년 114,307건이었던 악성코드 사고가 매년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2020년 167,399건 ▲2021년 319,312건 ▲2022년 667,468건 ▲2023년 1,176,423건 ▲2024년 8월 1,252,431건 악성코드 사고가 5년 전과 비교해 10배 이상 증가

  • format_list_bulleted 정보보안/통계정보
  • · 2024. 10. 14.
  • textsms

스마트폰 금전 탈취 5년새 10배 증가 (2020년 부터 2024년)

1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신고를 받아 탐지한 악성코드는 2019년 11만4307건에서 2020년 16만7399건, 2021년 31만9312건, 2022년 66만7468건으로 해마다 늘어남 지난해에는 117만6423건으로 급증했고 올해에도 8월 말 기준 125만2431건으로 이미 지난해 피해 규모를 뛰어넘었다. 주로 금전 탈취, 내부 자료 유출, 시스템 마비 등을 위해 침투한 악성코드 홈페이지 위·변조 해킹 건수는 2019년 639건, 2020년 764건, 2021년 292건, 2022년 893건, 2023년 178건으로 집계됐다. 올해 8월 말 기준으로는 75건

  • format_list_bulleted 정보보안/통계정보
  • · 2024. 10. 14.
  • textsms
  • navigate_before
  • 1
  • 2
  • 3
  • 4
  • 5
  • navigate_next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635) N
    • 재테크 (95) N
      • 산업분석 (25) N
      • 종목분석 (41) N
      • 투자전략 (10)
      • 통계분석 (19)
    • IT (45)
      • AI (24)
      • 시스템구조 (2)
      • 정보보안 (19)
    • 정보보안 (450) N
      • 사건사고 (260) N
      • 처벌 및 징계 (96) N
      • 정책 및 기술 (53)
      • 통계정보 (41)
    • 삶의윤활유 (45)
      • 유머 (10)
      • 좋은글 (9)
      • 생활지식 (21)
      • 정책 (4)
      • 감상평 (1)
인기 글
태그
  • #Ai
  • #개인정보보호
  • #개인정보유출
  • #보이스피싱
  • #딥페이크
  • #피싱
  • #로봇
  • #랜섬웨어
  • #개인정보
  • #해킹
최근 글
Copyright © 모두가 행복한 세상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나의 친구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