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 개요대전 중구의 한 아파트에서 주민등록 세대명부가 유출되는 사건 발생통장이 주민등록 사실조사를 아파트 관리사무소에 맡기면서 122세대의 개인정보가 유출 피해 규모이름, 생년월일, 성별 등 주민등록 정보가 포함된 세대명부가 유출 원인통장이 직접 수행해야 할 업무를 관리사무소에 위임한 것이 원인.해당 통장은 해촉되었고, 추가 피해 방지를 위해 경찰이 수사에 착수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최수진(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1월~6월 휴대전화 불법 스팸 신고는 총 2억 1,751만 637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스미싱 피해 신고는 88만 7,859건으로 지난 2020년(95만 843건) 이후 가장 많았다.
2021년부터 올해 8월 말까지 최근 4년간 대학 및 대학병원, 교육청 및 일선 학교, 기타 교육기관을 합친 개인정보 유출 건수는 615만건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강동갑)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교육 관련 기관들의 개인정보 유출사고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올해 8월까지 교육기관들에서 유출된 개인정보는 615만 4,877건으로 우리나라 인구 5,175만명의 8.4%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는 주민등록번호 등 고유식별번호와 병명과 진료결과 등 민감정보였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0일 한국인터넷진흥원(KSIA)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악성코드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9년 114,307건이었던 악성코드 사고가 매년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2020년 167,399건 ▲2021년 319,312건 ▲2022년 667,468건 ▲2023년 1,176,423건 ▲2024년 8월 1,252,431건 악성코드 사고가 5년 전과 비교해 10배 이상 증가
1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신고를 받아 탐지한 악성코드는 2019년 11만4307건에서 2020년 16만7399건, 2021년 31만9312건, 2022년 66만7468건으로 해마다 늘어남 지난해에는 117만6423건으로 급증했고 올해에도 8월 말 기준 125만2431건으로 이미 지난해 피해 규모를 뛰어넘었다. 주로 금전 탈취, 내부 자료 유출, 시스템 마비 등을 위해 침투한 악성코드 홈페이지 위·변조 해킹 건수는 2019년 639건, 2020년 764건, 2021년 292건, 2022년 893건, 2023년 178건으로 집계됐다. 올해 8월 말 기준으로는 75건
'10·29 이태원 참사' 당시 희생자 명단을 공개한 인터넷 매체 민들레가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으로 과태료 300만원 징계 처벌 내용개인정보위는 지난 7월 24일 제2소위원회를 열어 민들레에 대해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을 근거로 과태료 300만원을 부과민들레는 이태원 사고 희생자의 일부 명단을 수집·공개하고, 이를 삭제해달라는 유족의 요청에 '희생자와 관계를 확인해야 한다'는 이유로 주민등록번호가 포함된 신분증 사본을 요구신분증 사본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주민등록번호에 대한 가림 처리 등 비식별화 조치의 시행 여부를 별도로 안내하지 않은 사실개인정보위는 민들레가 주민등록번호가 포함된 신분증을 수집한 것이 여기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관련법을 위반했다고 보고, 과태료를 부과
사건 개요보안기업 ADT가 제3자 비즈니스 파트너의 자격 증명을 도난당해 시스템이 해킹되었고, 직원 계정 관련 암호화된 데이터가 유출 피해 규모직원 데이터 유출, 고객 데이터는 영향을 받지 않음. 8월에도 30,800여 명의 고객 기록이 유출된 사건이 있었음. 원인제3자 비즈니스 파트너의 시스템 악용내부 시스템으로의 비인가 접근이 발생했으며, ADT는 즉각적인 차단과 조사에 착수
사건 개요인터넷아카이브의 Wayback Machine 웹사이트가 해킹당해 약 3100만 명의 사용자 인증 데이터가 유출 피해 규모총 6.4GB의 SQL 데이터베이스가 유출사용자들은 HIBP에서 자신의 정보 유출 여부를 확인 가능. 원인침해 공격은 9월 28일경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 해커는 이 침해 사실을 직접 알렸고, 데이터를 '해브아이빈폰드(HIBP)'에 넘겼음인터넷아카이브의 보안 관리 미흡이 지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