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 개요인터넷아카이브의 Wayback Machine 웹사이트가 해킹당해 약 3100만 명의 사용자 인증 데이터가 유출 피해 규모총 6.4GB의 SQL 데이터베이스가 유출사용자들은 HIBP에서 자신의 정보 유출 여부를 확인 가능. 원인침해 공격은 9월 28일경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 해커는 이 침해 사실을 직접 알렸고, 데이터를 '해브아이빈폰드(HIBP)'에 넘겼음인터넷아카이브의 보안 관리 미흡이 지적
더불어민주당 전진숙 의원이 보건복지부, 한국사회보장정보원, 교육부, 한국인터넷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이후 총 91건 진료정보 침해사고 발생진료정보 이외의 침해사고 역시 129건에 달했다. 특히 서울대병원, 충남대병원 등 국립대병원에서도 15건의 침해사고가 발생 병원 규모별 사고상급종합급 4건종합병원급 15건병원급 29건의원급에서 43건 사고 예2021년 서울대병원에서는 ‘비인가접근’을 통해 환자 및 직원 약 83만명의 개인정보가 유출제주대병원 1건, 충북대병원 2건, 충남대병원 5건, 경북대치과병원 6건 등 총 15건에 달하는 침해사고 발생충남대병원에서는 9번의 침해시도 중 5번의 침해가 성공경북대치과병원의 경우 6번의 침해시도가 모두 성공 중국산 IP카메라 해킹으로 인해 국내..
사건 개요태국에서 검거된 '불법 리딩방' 조직이 한국인 230만 명의 개인정보를 보유하고 있던 것으로 확인해당 정보는 금융범죄에 활용된 것으로 추정 피해 규모개인정보 유출이 금융사기, 보이스피싱, 로맨스 스캠 등 다양한 범죄에 사용되었으며, 민간 및 공공기관에서의 유출 신고 건수는 지난해 대비 103% 증가함. 사고 원인개인정보 관리 소홀과 해킹이 주요 원인. 특히 민간 영역에서의 해킹 피해가 두드러짐.
사건 개요피규어 판매 사이트 '피규어팜'에서 7만 7천여 명의 회원 정보가 유출되었으며, 해커가 해당 정보를 해킹 포럼에 판매 시도 피해 규모유출된 정보에는 이름, 주소, 휴대폰 번호, 계정 정보, 생년월일, IP 주소, 닉네임, 이메일, 가입일자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2차 피해로 보이스피싱, 계정 도용 가능성 존재정리해놓은 엑셀 파일도 첨부 사고 원인보안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이 표적이 되었으며, 최근 해킹 및 랜섬웨어 공격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남
사건 개요가짜 인터넷 쇼핑물에 가입해 물건을 사면 포인트를 주거나 후기를 작성하면 사은품을 준다고 속여 A씨 등 12명으로부터 5억여원을 가로챈 사기단이 적발사기단은 물품 구매 후 후기 작성 시 포인트 및 사은품을 제공한다고 속여 피해자를 유인예산경찰서는 일당 6명을 사기 혐의로 붙잡아 이 중 5명을 구속. 범행에 이용된 대포계좌, 대포폰을 사기조직에 제공한 피의자를 불구속 송치. 잔여 공범에 대해서도 계속 추적 중 피해 규모약 5억 원의 금전 피해 발생 사건 원인가짜 쇼핑몰 링크를 통해 물품 구매를 유도한 후, 포인트 환전 시 수수료 선입금을 요구하는 방식으로 피해자를 속임올해 5월부터 6월22일까지 주부·학생을 상대로 오픈채팅방 메시지 등을 통해 '상품 후기만 작성해주면 핸드크림을 사은품으로 주겠다..
사건 개요경기도와 도 산하 공공기관들이 채용 합격자 발표 시 이름과 생년월일 일부를 공개하여 개인정보 노출 우려31개 시·군 중 27곳과 도 산하 28개 공공기관 중 13개 기관이 이러한 방식을 사용경기도 인권보호관은 개인정보 보호법과 헌법상 사생활의 자유를 침해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하며 개선 요구 피해 규모채용 합격자 공고 시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가 일부 공개되어 개인정보 유출 위험이 발생해당 기관들의 정보 공개 방식으로 인해 사생활 보호와 개인정보 침해 우려가 제기되었으며, 합격자들이 잠재적인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상황 원인채용 공고 시 합격자들의 이름과 생년월일 일부를 공개하는 방식이 개인정보 보호 원칙에 위반경기도 인권보호관은 이러한 방식이 개인정보 보호법 제3조 및 제7항에 어긋나며, ..
사건 개요한국 이커머스 중개 플랫폼인 팝인보더에서 사용자들의 개인정보가 유출팝인보더는 9월 19일, 홈페이지를 통해 개인정보 유출 사실을 인정 피해 규모유출된 정보는 이름, 휴대전화번호, 주소, 개인통관부호 등 4개 항목유출된 DB는 약 113,000건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중 다수의 피해자들은 개인정보 유출 사실조차 미인지피해자들은 피싱, 스팸 문자, 그리고 개인통관부호를 이용한 불법 활동 등 2차 피해에 노출될 가능성특히, 통관부호가 유출된 점은 관세나 수입 제한을 우회하려는 목적으로 악용될 수 있어 추가적인 주의가 요구 원인9월 11일, 해커 'netnsher'가 브리치 포럼에 이 정보를 공개하며 자신이 팝인보더에서 해킹한 데이터라 주장팝인보더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취약점이 악용되어 외부에서 접근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