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2차전지 소재업체별 Valuation 및 선호주식
- 재테크/종목분석
- · 2024. 3. 3.
인공지능(AI) 기술이 점점 대중화되면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는 인공지능이 적용되면서 기술적 진보의 중심에 서 있다. 과거에는 기술적 한계로 인해 로봇이 제조 공장의 반복 작업이나 기본적인 애완동물 대용품에 국한되어 활용되었다. 그러나 최근 인공지능의 발달, 특히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등장으로 인해 로봇 기술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ChatGPT와 같은 인공지능의 대중화는 로봇이 인간처럼 사고하고, 다양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며, 휴머노이드 로봇을 현실로 만들고 있다. AI가 접목된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의 발전은 단순히 새로운 기술의 등장을 넘어서, 우리의 일상생활, 일하는 방식, 심지어 인간관계에까지 영향을 미..
AI의 가장 큰 수혜를 받고 있는 반도체 영역 중의 하나가 HBM이다. 학습 및 추론을 위한 GPU에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한 번에 많이 처리를 해야 하기 때문에 GPU와 DRAM 간의 대역폭과 용량을 늘려주기 위해 나온 기술이 HBM이다. 현재는 압도적으로 하이닉스가 앞서 가고 있지만 삼성에게도 기회의 시간이 오고 있다. HBM은 생산은 시간의 문제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가 실기로 늦게 출발해서 추격자이지만 기존의 역량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1년 정도 뒤에는 DRAM 점유율처럼 50% 까지는 아니더라도 현재의 마켓 점유율보다는 높아질 것으로 생각한다. 이달 초 (3월) 부터 삼성 HBM의 Value chain 업체를 투자의 관점에서 관심 있게 보고 있고 투자하고 있다. 여기에서 몇 개의 업체를 소개한..
이전글: 한국 부자 보고서 (4) - 24년 투자전략 이 글에서 부자는 금융자산 10억 이상 보유자, 슈퍼리치는 자산 100억 이상 보유자를 의미한다. 부의 원천 부자들이 자산을 축척하는데 기여도를 보면, ‘사업소득’(31.0%)이 ‘근로소득’(11.3%)로 사업소득이 근로소득에 비해 3배 많았다. 자산을 불리는 수단으로는 ‘부동산투자’(24.5%), ‘금융투자’(13.3%)로 부동산투자가 금융투자에 비해 2배 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한국 부자의 원천은 부동산으로 볼 수 있다. 참고로 미국은 금융투자가 부동산 투자보다 3배 정도 높다. 그 외 '상속·증여' (20%)가 있다. 부자 중에 금수저가 5명 중에 1명이라고 보면 된다. 그리고 자산 수단으로도 상속·증여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사회에 부익부 ..
이전글: 한국 부자 보고서 (3) - 세부자산유형 이 글에서 부자는 금융자산 10억 이상 보유자, 슈퍼리치는 자산 100억 이상 보유자를 의미한다. 부자의 24년 투자 전략 부자들은 단기 자산 운용 계획으로 대부분 금융자산에서 투자금을 유지하거나 늘릴 계획이 있고 세부항목에서는 예적금과 주식 투자를 늘리고 금리가 고점일 때 채권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었다. 금융자산에서는 예적금(24%)과 주식(21%)을 매력적인 투자처로 생각하고 있다. 부자의 24년 투자 유망처 24년에 고수익이 예상되는 투자처로 ‘주식’(47.8%)과 ‘거주용 주택’(46.5%)을 최우선으로 꼽았으며, 다음으로 ‘금ㆍ보석’(31.8%)과 ‘거주용 외 주택’(31.0%)도 매우 유망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부자들은 자금의 여유가 있어 투자..
요즘 주위를 보면 각종 사회 문제로 불안해하는 분들을 종종본다. 코로나 및 환경 문제가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다 보니 관심과 염려를 하게 된다. 관련하여 통계개발원에서 세대 간의 사회안전 및 환경 의식에 대한 불안 요인을 조사한 내용이 있어 소개한다. (KOSTAT 통계플러스 2024호 봄호) 세대 기준 시니어 세대(1954년 이전 출생, 70세 이상)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 61~70세) X세대(1964~1979년생, 45~60세) M세대(1980~1994년생, 30~44세) Z세대(1995~2005년생, 19~29세) 사회안전에 대한 인식 전 세대에서 우리나라 사회안전 전반에 대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비중이 높음 사회안전에 대한 불안 요인은 세대별로 차이가 있으나 질병은 관심이 공통적..
저평가된 기업의 주가를 끌어올리겠다는 정부 정책으로 설왕설래가 왕성하다. 이 정책으로 외국인 주식 매수가 증가하고 (3월까지 약 13조) 코스피 지수가 상승했다. 그러나 국내 주가의 저평가 논란이 새삼스런 일도 아니어서 필자는 아직도 반신반의한다. 저평가의 가장 큰 2가지 이유는 소액주주를 무시하는 대주주의 전횡과 (쪼개기 상장, 자본 배분의 불공정, 독단적인 결정 등) 이를 가능하게 해 주거나 방관하는 국가 정책 (상법, 주식 거래소 정책 등)이다. 이번에 나온 정부의 부양 정책도 표창장 정도로 별거 없었다. 여기서 제시하려고 하는 것은 저평가에 대한 문제가 아닌 전 세계 주요 지수 대비 국장이 오르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말하려고 한다. 24년 전세계 주요 지수를 보면 역사적 고점을 경신하고 있다. 대..
이전글: 한국 부자 보고서 (2) - 자산 구성 이 글에서 부자는 금융자산 10억 이상 보유자, 슈퍼리치는 자산 100억 이상 보유자를 의미한다. 부자의 세부 자산유형 부자의 자산 세부 유형을 보면 서울 평균 집값이 10억을 넘어서다보니 거주용 부동산이 자산의 30% 를 차지했다. 그 다음은 유동성 자산이 13.3% 를 차지한다. 부동산자산을 세부적으로 보면 거주용:투자용 (투자용 주택, 빌딩, 토지 등)의 비율이 54%:46% 이다. 2023년은 부동산이 하락 조정을 받았음에도 비율이 증가한 이유는 금융자산 감소 대비 상대적으로 선방하고 자금을 안전자산으로 이동한 영향으로 보인다. 금융자산은 유동자산, 예적금, 보험 등의 안전자금:투자자금 (주식, 펀드 등)의 비율이 75%:25%이다. 2023년 주식..
이전글: [재테크/산업분석] - 액침냉각 액침냉각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최근 국내 기술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SKT와 삼성물산에서 개발한 두가지 방법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SKT 액침냉각 기술 열전도 높은 특수 냉각유에 서버를 직접 담가 냉각하는 유냉식 시스템 방식 미국 GRC 기술 활용 (SK 엔무브 일부 투자) 및 SK 엔무드 협업 공기냉각 대비 냉방전력의 93%, 서버전력에서 10% 이상이 절감돼 총 전력 37%가 절감되는 효과 2024년 11월 상용화 삼성물산 액침냉각 기술 전기가 통하지 않는 비전도성 액체에 서버를 직접 담가 열을 식히는 유냉식 시스템 방식 국내기업 테이터빈과 협업 기존 공랭식과 대비 전력 소비량이 80% 가량 감소 및 전력효율지수는 1.02를 기록